
근로자복지 Employee Assistance Program, EAP 로 요약해서 말하기도 합니다.
우리가 직장에서 늘 좋은 일만 있다면, 좋겠지만요.
성장 위주의 조직문화가 경직된 사고관을 불러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때로는 지위/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해서 상대방에게 불편한 감정을 불러오는 행동으로 당사자가 힘들어할 수 있습니다. 업무로 인한 정당한 이유가 없어서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도 맞이할 수 있기에 이를 전반적으로 예방 및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EAP 도입이 진행됩니다.
● EAP역할과 정의
EAP 는 기업의 생산성 및 근로자의 고충사항을 전반적으로 다룰 수 있는 심리 상담 코칭을 제공합니다.
근로자의 다양한 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는 고민을 상담하고 해결해줄 수 있는 서비스로 이해하는데요.
주요 맥락은 '직장내 괴롭힘' 으로 인해 근로자가 감정적/신체적으로 소진하는 것을 예방하고 같이 해결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가 장기화될 경우, 대응과 해결을 시도하기도 전에 현저히 의지가 낮아질 수 있기에 심리 전반에 지원과 상담으로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 프로그램 기대효과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근로자는 스트레스 감소로 업무 만족감과 일-가정 균형있는 삶의 만족을 향상합니다.
소속 조직장/경영진 입장에서는 근로자인 구성원의 삶의 고민까지 케어하기 어렵기에 이를 관리하는 부담이 감소합니다. 또한,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의사소통이 전개될 수 있고 그로 인한 몰입도가 향상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회사의 입장에서는 구성원의 애사심,이직률 감소에 영향이 있기에 이미지 향상과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유형 (개인/ 기업)
1. 개인
1) 온라인 신청
근로복지넷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 온라인 상담 신청 선택 → 상담유형 선택 (게시판상담 / 희망드림 톡(채팅/톡상담) / 전화 / 화상 ) → 상담분야 선택 → 상담사 선택
2) 오프라인 신청 / 1인당 7회
근로복지넷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 온라인 상담 신청 선택 → 근로자상담 선택 → 상담분야 선택 → 상담사 선택
2. 기업 (이용횟수 : 기업별 3회, 1회당 60~90분, 특강/교육 )
* 상시 근로자 수 300인 미만 중소기업으로 특강/교육 등 프로그램 지원 가능
기업신청시 EAP이용 연차 3년까지 무상지원입니다.
→ 대상 : 300인 미만 중소기업으로 근로복지넷에 '기업회원'으로 가입한 기업담당자
→ 신청방법
근로복지넷 근로자지원프로그램 → 기업EAP상담 선택 → 상담신청하기 선택 → 상담신청서 기재 → 담당자가 순차 연락
해당 프로그램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상(Ktv - Youtube)
Youtube 를 보다가, 정책/혜택 관련 소개하고 있는 채널을 발견했습니다.
Ktv스콘 채널인데요. 생각보다 다양한 이야기를 재미있고 쉽게 설명해서 잠깐 시청해도 유익했습니다.

홈페이지 직접 이용을 안내하는 영상이 있었기에 처음 홈페이지 방문해서 당황하는 사람들에게는
친절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왜 이것을 사용하는지 배경을 실제 생활과 연관하여
설명해주고 있어서 영상을 보면서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참고) 근로자복지넷 홈페이지 둘러보기 (EAP) 메뉴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코로나 상황을 적용한 이야기도 있습니다.
상담신청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상위 메뉴 롤메뉴를 통해서 원하는 내용을 찾을 수 있습니다.

● EAP 프로그램 안내 (요약)
근로복지공단 : www.kcomwel.or.kr/kcomwel
- 상담전화 : 1588-0075
- EAP 상담 서비스 무상 제공
- 상시 300명 미만 사업장 소속 근로자라면 누구나 근로복지넷 회원 회원 가입 후 이용 가능
- 상담은 위탁 전문기관의 전문 상담사를 통해 제공되며, 상담 내용은 철저하게 비밀로 보장됨
노동복지 허브, 근로복지공단
www.comwel.or.kr
※ 참고 기사 _ 직장인 괴롭힘 관련 글 / EAP 근로복지넷 상담 서비스 언급
[노동자 권리 찾기 필수템 ⑤] 입사부터 퇴사까지 노동자라면 알아야 할 권리 ⑦ 직장내 괴롭힘 -
최근 동남권 서울시 노동자종합지원센터가 이라는 소책자를 발간했다. 플랫폼 노동자와 프리랜서, 운수·물류 노동자와 청년노동자들이 일하다 겪고 있는, 겪을 수 있는 문제를 살피고 대처법
www.labortoday.co.kr
'노사관리 (법,제도 변화 및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내연애 금지가 취업규칙에 있다면? 효력 범위는? (0) | 2022.01.01 |
---|---|
인사위원회 준비 방법(출석통보,확정) (1) | 2021.12.02 |
평균임금, 통상임금을 알아보겠습니다. (6) | 2021.11.29 |
노사협의회 구성 및 운영, 규정 신고 방법 (0) | 2021.11.28 |
(중장년) 신중년, 계속고용장려금 제도 알아보기 (1) | 2021.11.27 |